장시우의예술가산책 6

[장시우의 예술家 산책] 6. 설치미술가 정지연 작가

버려진 것에서 생명 얻는 작품 다시 허무는 일마저 자연을 닮다 가슴 뛰게 하는 녹슨 것들로 구현하는 상상 스테인리스·파이프·나사·나무 녹슬고 버려진 재료로 설치 작품 상상하던 작품 재현됐을 때 쾌감 커 자연과 교감하며 아름다움 전달 "공간空間 으로 관객과 교감했으면" ▲ 정지연 작 '생명의 빛' 원주한지문화제에서 작년에 이어 올해도 사람들 이목을 집중시켰던 작품이 있다. 한지테마파크 야외에 설치되었던 설치미술가인 정지연 작가의 작품 ‘2022 생명의 나무’, ‘종이의 숲 Season 3’, ‘2022 생명의 빛’은 바람이 불거나 비가 내리면 표정이 더 풍부해져 사람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설치미술가 정지연 작가의 작업장을 찾았다. 그는 주로 스테인리스, 파이프, 나무 등을 소재로 작업하는데 웬만한 남성도..

[장시우의 예술家 산책] 5 독립영화 감독,고씨네 고승현

SNS 기사보내기 ‘사라짐’을 향한 섬세한 시선 “독립영화는 세상을 바라보는 창” 어린시절부터 꿈꿨던 촬영감독 독립예술영화 공간에 대한 갈증 2020년 독립영화관 직접 열어 ‘남아있는 순간들 ’ 등 2편 제작 새 장르 도전 위해 도내 교류나서 “관객들 ‘공감’에 동력·추진력 사라지는것들 추억하고 싶어” ▲ 고승현 감독 고승현(사진)감독을 만나러 일산동 로데오 거리로 갔다. 고승현은 독립영화 감독이자 고씨네 혹은 go-cine 대표다. 고씨네는 독립영화관을 운영하고 영상 제작을 하는 예비사회적기업이다. 고씨네는 상가 2층을 오후대책이라는 재미있는 이름으로 사무실 겸 작업실로 쓰고 3층은 9인석을 가진 초미니 독립영화관으로 운영한다. 그의 공간에서 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자니 그가 보여주고 싶은 것이 많고..

[장시우의 예술家 산책] 4. 극단 노뜰과 배우들

말보다 깊은 몸짓 낯섦이 주는 감동 아비뇽 페스티벌 off서 ‘동방의 햄릿’ 전 세계 주목 음악 어우러진 몸짓 언어 관객 몰입도·상상력 높여 ■ 배우 주동하 노뜰 다양한 시도에 매료 ■ 배우 홍한별 연극으로 ‘살아있음’ 느껴 ■ 배우 송정현 더 진실한 연극 의미 생각 ▲ 왼쪽부터 송정현·주동하·홍한별 배우 관객이 상상하며 해석하는 연극 “극단 노뜰의 무대는 피지컬 씨어터라는 한 단어로 표현하기 힘듭니다. 응축된 대사와 그 행간을 채우는 신체 표현 덕분에 관객은 이야기를 상상하며 봅니다. 그래서 100명의 관객이 있다면 100개의 해석과 주제가 가능합니다.” 일본 극단 블랙텐트의 기라타니 나츠코의 이 말은 노뜰을 적확하게 소개한 말이다. 노뜰은 아비뇽 페스티벌 off에서 ‘동방의 햄릿’으로 전 세계 평단과..

[장시우의 예술家 산책 ] 3. 봄날에 연애와 시 그리고 양선희 시인

환히 볕 드는 모퉁이 가게… “누군가를 안아주는 공간 되길” 유년 시절부터 글쓰기에 재능 소설·에세이 다양한 장르 섭렵 절필기간 ‘손안의 나비’ 된 기분 시 쓰며 재생의 과정 다시 겪어 엄마에 관한 포토시집 구상 “시를 쓰며 리듬 되찾아 사라졌던 ‘나’ 회복 나 다운 내가 되어간다” ▲봄날에 연애 전경 ■사람들을 안아주는 공간 옛 시청길 골목을 걷다 보면 길모퉁이에 독특한 민트색 작은 카페 ‘봄날에 연애’가 눈에 들어온다. 봄날에 연애는 양선희 시인의 시집 제목이자 그가 좋아하는 블루로 꾸민 북카페다. 봄날에 연애는 푸른 하늘이 언뜻 보이는 구름 같은 천정도 그렇고 벽에 걸린 그의 사진 작품도 구름과 푸름이 가득하여 푸르름에 안겨있는 기분이 든다. 그곳에서 봄날처럼 환한, 만나면 기분 좋아지는 사람, 양..

[장시우의 예술家 산책] 2. 하이퍼리얼리즘 화가 김용석

그림에 담긴 몸, 몸에 담긴 언어…수만 번 터치로 여는 말문 고등학생 시절 우연히 접한 레핀 아카데미 출신 화가 작품 팽팽한 현 같은 유학 이끌어 아트팩토리 후 거쳐 개인 독립 손짓·손에 담긴 표정 그리다 눈으로, 몸으로 영역 확장 다음 작업 ‘자연’ 옮겨갈 계획 “동작마다 다르게 읽히는 몸은 언어가 된다는 생각 이게 내 언어라는 느낌에 몸에 집중하게 돼” 김용석 작 ‘The eye’ ■ 수만 번의 터치가 그리는 아름다움 김용석 작가가 알려준 주소를 찾아 옛 원주역 근처 공구상이 늘어선 도로변에서 두리번거리자니 빈 상가가 눈에 많이 띈다. 먼지 쌓인 기물들과 문 앞에 청구서, 광고지가 쌓여있는 풍경은 굳이 묻지 않아도 드러나는 요즘의 안부다. 화가의 작업실은 공구상이 이어진 도로변 상가 2층에 있었다. ..

[장시우의 예술家 산책] 1. 그림책 시인 이상희

“어린시절 읽던 그림책, 일상의 정신적인 보물로 작동” 등단 시인→방송작가 그림책 사랑은 운명 3000권 번역·50여권 창작 2003년 원주 정착 패랭이 그림책 버스 운영 원주=그림책도시 밑거름 원주시그림책센터일상예술 수집 그림책·자료 관람 가능 “세상에 대한 긍정 고난 이겨내는 해피엔딩 그림책이 주는 진정성” ▲ 그림책으로 가득 찬 원주복합문화예술센터 내 원주시그림책센터 일상예술에서 책을 읽고 있는 이상희 시인. ■ 시인에서 그림책 사람으로 언제부터인가 그림책 도시라고 하면 원주를 떠올리는 일이 자연스러워졌다. 누군가 원주와 그림책을 이어주지 않았다면, 발자국을 남기지 않았다면 원주가 그림책 도시로 각인될 수 있었을까? 원주에 그 발자국을 남긴 사람이 이상희 시인이다. 이상희 시인은 사람들을 만나면 그..